사진=셔터스톡
사진=셔터스톡

올해 우리나라는 ‘스마트시티’라는 날개가 활짝 펴진 원년으로 기록될 듯하다. 스마트시티를 총괄하는 국토교통부를 위시해 모든 정부 부처가 스마트시티를 지원하는데 역량을 집중했다. 전국 시와 군단위 지자체가 앞다퉈 스마트시티 구축 프로젝트를 전면에 내세웠다.

웬만한 지방의 거점 도시들은 크든 작든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시티를 운영 중이다. 국제적으로도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건설 노력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송도는 스마트 쓰레기 처리로 유명세를 탔다. 물론 실속이 없었다는 비판도 받았지만 프로젝트 자체는 선구적이었다. 최근에는 서울과 부산은 스위스 경영연구원과 싱가포르가 공동으로 조사한 전 세계 100대 스마트시티에 선정되기도 했다.

수원이나 화성 등 여러 도시들이 스마트시티 구축 대열에 뛰어들었다. 수원은 10월 세계지식포럼에서 ‘2020 대한민국 지식혁신 스마트시티 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건설 추진은 200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로서는 세계 처음으로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소위 ‘U-City법’을 제정해 올해 전 세계적인 유행어가 된 스마티시티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 법령에 따라 이듬해 11월 1차 U-City 종합계획이 수립되고 2013년에 2차 계획이 수립된다. 그리고 법률을 일부 개정해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스마트시티 사업이 본격화한 것은 2017년 9월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개정부터다. 유비쿼터스라는 용어를 스마트로 대체하고 사업의 범위를 기존의 시가지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그리고 2019년 ‘스마트시티 종합계획’을 수립, 발표하며 국가시범도시 기반 스마트시티 혁신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이 계획에 따라 국가시범도시로 세종시와 부산 에코델타시티가 선정됐다.

이들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사업에는 민간과 공공이 함께 특수사업법인(SPC)을 구성해 사업을 진행한다. 선도 모델 구현에 나서고 있다. 세종 국가시범도시에는 LG CNS 컨소시엄이 선정돼 공공부문 사업자인 LH, 세종특별자치시와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부산 에코델타시티 SPC로는 한화에너지, NH투자증권, 한화손해보험 등이 대표로 참여한 ‘The Grand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

당초 세종 스마트시티는 2021년 1차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2년 연기됐다. 이에 따라 올해 7월 착공해 2023년 입주한다는 계획이다. 시민의 일상을 바꾼다는 목표로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환경 ▲거버넌스 ▲문화·쇼핑 ▲일자리등 7대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이다.

부산 에코델타시티 사업의 핵심은 데이터와 증강현실(AR)이다. 또 도시의 물순환 전 과정에 스마트 물관리 기술을 적용하는 등 에너지 자립률 100%를 달성하는 ‘제로 에너지 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 12월 입주 예정인 에코델타시티 내 스마트빌리지에는 54세대가 입주하며 지난 14일 모즙 공모에서 최고경쟁률 143대 1을 기록했다.

경북 대구와 경기도 시흥에서도 국가 차원의 스마트시티 구축 정책으로 데이터 허브 모델 개발과 실증 사업을 진행 중이다. 세종, 부산 외 지역에서는 기존 도시에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스마트시티로 탈바꿈하기 위한 솔루션을 진행하는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도 병행 추진하고 있다. 인천에서는 현대자동차 등이 ‘수요 응답형 교통시스템 실증’ 사업을, 경기 수원에서는 삼성전자 등이 ‘5G 이동통신 기반 모바일 디지털 트윈 구축’ 사업에 나섰다.

스마트시티가 기후변화 대응, 도시문제 해결 등의 효과적 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지자체 중심의 구축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세종과 부산의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추진 성과는 향후 건설되는 3기 신도시 등 전국으로 뻗어 나가게 된다.

2025년까지 '스마트시티' 사업에 10조원 투자, 15만개 일자리 기대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 사업도 스마트시티 조성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25년까지 ‘스마트시티’ 사업에 10조 원을 투자하고 15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전국 108개 지자체에 보급하고 전 국민의 60%가 스마트시티를 체감하도록 한다고 약속했다. 도로와 철도 등 공공 인프라를 디지털로 전환한다는 방침도 천명했다. 로봇과 드론이 배송하는 스마트 물류센터도 2025년까지 100개 만든다고 했다. 국토부는 현재 드론과 스마트시티 데이터 플랫폼 보급에 집중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스마트시티위원회 참여 업체인 에릭슨LG의 이희열 수석은 과기정통부 주관 '5G 버티컬 서밋'에서 "스마트시티의 효율적인 구축을 위해서는 여러 부처로 나눠져 있는 국내 행정체계를 협업하는 구조로 만들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구축이 실체는 드러나지 않고 시범사업 수준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은 것은 문제로 지적된다. 지방정부 차원에서 약속한 것이 미뤄지기 일쑤다. 우정사업본부가 빠르면 10월부터 우편물 수거에 자율주행 집배차량을 운행하고 배달 로봇으로 우편물을 전달한다고 했지만 아직 뒷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항공 택시 운행에 대한 로드맵은 그렸지만 실현까지 갈 길은 멀다.

올해는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만족해야 할 듯하다. 실체를 드러낼 내년이 기대된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